오늘 실무에서 배운 리눅스 명령어들을 공유하기 위한 포스팅.

앞으로도 리눅스에 접속할 일이 많을테니 두고두고 기억해두자.

 

ls (List)

현재 디렉토리 내에 있는 파일 및 디렉토리를 나열해주는 명령어다.

ls [옵션] [찾고싶은 파일/디렉토리]

주요 옵션

  • -l: 파일 접근 권한 및 생성 시간 등의 세부 정보 표시
  • -lh: 파일 및 디렉토리의 크기를 단위와 함께 표시
  • -a, --all: 숨김 처리된 파일 및 디렉토리를 포함하여 표시
    • 숨김 처리된 파일 및 디렉토리는 앞에 .이 붙음

 

cd (Change Directory)

현재 위치한 디렉토리를 이동(변경)해주는 명령어다.

참고로 ..는 상위(부모) 디렉토리, .는 현재 디렉토리를 뜻한다.

cd [디렉토리]

 

cat (Concatenate)

보고싶은 파일의 내용을 표시하는 명령어다.

표시하고 싶은 파일이 여러 개일 경우 개행으로 결합하여 출력해 준다.

cat [파일1] [파일2] …

 

vi (Visual)

상용되는 텍스트 편집기로, 파일의 텍스트를 편집할 수 있다.

vi [파일]

 

vi 명령어

  • i: 입력 모드로 전환
  • esc: 명령 모드로 전환
  • :w: 파일 저장
  • :q: vi 종료
  • :wq: 파일 저장 후 종료

ps (Process Status)

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들을 표시하는 명령어다.

보통 PID를 알기 위해 ps -ef | grep 문자열 형식으로 많이 사용한다.

ps [옵션] # UID PID PPID C STIME TT TIME CMD
ps -ef | grep httpd #검색된 모든 프로세스 정보 중 httpd 무낮열이 포함된 라인을 필터링

 

ps 표시 항목 (세부 정보 포함)

  • UID: 프로세스 소유자 ID
  • PID: 프로세스 ID
  • PPID: 현재 프로세스를 생성한 부모 프로세스의 ID
  • C: CPU 사용률 (백분율)
  • STIME: 프로세스 시작 시간
  • TTY: 프로세스가 연결된 터미널 (연결되지 않은 경우 ?로 표시)
  • TIME: 프로세스가 사용한 총 CPU 시간
  • CMD: 프로세스를 시간한 명령어 및 인수

주요 옵션

  • -e: 모든 프로세스 표시(프로세스 실행 상관 X)
  • -f: 프로세스 소유자, 시작 시간 등의 세부 정보 표시
  • -u [소유자]: 특정 소유자의 프로세스 표시
  • -aux: 실행 중인 모든 프로세스에 대한 상세 정보 표시

 

pwd (Print Working Directory)

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절대경로를 출력하는 명령어다.

pwd

 

kill

특정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명령어다.

kill [옵션] PID
kill -9 1234 #PID가 1234인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

 

주요 옵션

  • -9: 프로세스 강제 종료
  • -15: 기본 종료 신호 전달
유영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