네이밍 컨벤션 (Camel Case, Pascal Case, Snake Case, Kebab Case, Hungarian Notation)
·
개발자 커리어 및 교육/개발 지식
식별자(변수, 함수 등)의 이름을 정할 때 사용되는 네이밍 컨벤션은 코드의 가독성과 일관성을 높이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.잘 지은 이름은 코드를 읽고 이해하는 시간을 단축시켜 프로젝트의 효율성을 높이기 때문이다. 각 네이밍 컨벤션은 프로그래밍 언어나 프레임워크에 따라 권장되는 방식이 다르므로,네이밍 컨벤션의 종류와 주로 어디에서 쓰이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. 1. 카멜 케이스 camelCaseCamel Case는 첫 번째 단어는 소문자로 시작하고, 이후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시작하는 방식이다.마치 낙타 등의 혹을 연상시키듯 중간에 대문자들이 솟아있어 Camel(낙타) Case라고 불린다.Java, Javascript, C#, PHP, Swift 등 많은 언어들이 카멜 케이스를 네이밍 컨벤션으로 채..
비동기(Asynchronous) vs. 논블로킹(Non-Blocking)
·
개발자 커리어 및 교육/개발 지식
🔹 비동기 = 논블로킹?java 개발자로서 비동기와 논블로킹 처리를 접할 일이 크게 없다가, 최근 WebClient를 학습하며 둘의 차이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다.비동기와 논블로킹이 같은 것인가? 라고 하면 당연히 아니지만, 엄연히 다른 것이냐고 해도 그것도 아니라고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. 이를 알기 위해서는 각자의 처리 방식을 이해해야 한다.  위 사진은 IBM DeveloperWorks Library에서 제공한 Sync/Async와 Blocking/Non-Blocking의 구분이다.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(동기, 논블로킹)이나 (비동기, 블로킹) 방식 또한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. 🔹 동기 (Synchronous) / 비동기 (Aynchronous)1. 동기 (Synchronous)동기 방식은..
유영웅
'개발자 커리어 및 교육/개발 지식' 카테고리의 글 목록